하지정맥원인 7

하지정맥류원인, 유전이 전부일까요?

하지정맥류 발병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전문의에게 가장 강력한 요소 하나만을 꼽으라면 아마도 “유전”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이처럼 하지정맥류 발병 원인에 있어 유전은 가장 강력한 요소이자, 뗄레야 뗄 수 없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유전적 소인이 하지정맥류 발병 원인의 전부라 말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유전이라는 요소를 절대 무시할 수는 없는 것으로, 그 어떤 다른 요소에 비해 매우 강력한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족 중에 하지정맥류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더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최신 정보는 아니지만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내원해주신 하지정맥류 환자분들을 분석해보면, 전체 663명 중 33%에 해당하는 218명이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Free Board 2023.12.12

하지정맥류원인 서서 일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하지정맥류로 인해 병원을 찾는 분 중에는 ‘서서 힘든 일’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는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라는 질병의 특성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다리로 내려온 혈액은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야 하며, 동맥뿐 아니라 정맥의 순환도 원활히 이루어져야 온전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JFT_jSOBJ8 동맥은 맥박이 있는데, 정맥은 아무리 눌러도 맥박을 느끼지 못합니다. 동맥은 심장의 펌핑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지만 정맥은 이러한 자체 압력이 없습니다. 동맥을 타고 긴 여정을 시작하는 혈액이 여러 혈관으로 분산되면서 가느다란 모세혈관, 뼈, 근육까지 유입되는 과정 중에 그 압..

Free Board 2022.07.15

하지정맥류원인, 멀지 않은 곳에 있습니다.

하지정맥류는 정맥 내 판막(valve) 손상으로 인해 혈액이 심장으로 순환하지 못하고 역류하면서 나타나는 혈관질환을 말합니다.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 그중에서도 유전 및 노화, 임신 그리고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일해야 하는 직업 등의 요소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가족 내력이 있거나 임신을 앞둔 분들, 장시간 서서 혹은 앉아서 일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라도 잠재적인 하지정맥류 환자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하지정맥류라는 질병이 이미 발병한 경우라면, 예방이 아닌 치료가 우선되어야 맞습니다. 하지만 유전 및 노화, 임신과 같은 요소들이 잠재적 가능성으로만 존재하는 경우라면 [ 지피지기 백전백승!! ] 충분히 하지정맥류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유전 및 노화, 임신 이외에 하지..

Free Board 2022.05.03

하지정맥원인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하지정맥류로 인한 고통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분들 중에는 장시간 서서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힘든 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현상은 하지정맥류라는 질병의 특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체내에 있는 혈액은 심장에서 다리로 내려갔다가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순환을 반복하게 됩니다. 동맥 순환뿐 아니라 정맥혈관에 흐르는 혈액도 원활하게 흘러야 [온전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맥의 경우 심장이 뛸 때마다 추진력을 얻는 동맥과 달리 자체압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어려움이 있습니다. 동맥을 타고 흐르면서 여러 혈관으로 분산되고 얇고 가느다란 모세혈관, 뼈, 근육으로 유입되는 과정 중에 그 압력이 모두 소실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맥혈관을 지긋이 만지면 ‘맥박’이 느껴지는데, ..

Free Board 2022.02.01

하지정맥류원인, 어느 한 가지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하지정맥류는 피부 바로 밑의 정맥이 늘어나면서 밖으로 돌출되는 혈관질환을 말하는 것으로, 각각의 다른 형태로 표출되기에 여러 종류로 구분하게 됩니다. 그럼, 각각의 하지정맥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미양정맥류는 가느다란 모세혈관의 내압 상승으로 인해 정맥이 확장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선홍색 또는 보라색의 실핏줄이 관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망상정맥류의 경우 직경 1~2mm 정도의 푸른 혈관이 내압 상승으로 인해 짙은 색을 띠고 돌출되어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복재정맥류는 다리 피부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표재정맥의 주된 뿌리로 복재신경과 주행을 함께하며, 초기에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다..

Free Board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