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종일 서서 힘든 일을 하는 것도 아닌데, 종아리에 쥐가 나서 너무 힘드네요~
하지정맥류가 생기면 종아리에 쥐가 잘난다던데....
이것도 하지정맥류 때문일까요?
하지정맥류가 발생하는 직업군은 다양합니다.
직업 특성상 오랜 시간 서서 일하는 경우도 있고 - 오랜 시간 앉아서 일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직업군은 [오랜 시간 서서 일하는 경우]로
오래 서있게 되면 “중력의 영향 + 정맥 내압 상승”으로 인해 판막(valve)에 무리를 주면서 하지정맥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정맥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다리(하체)에 피부 표면에 혈관이 울퉁불퉁 튀어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정맥압이 상승하여 파랗고 빨간 실핏줄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을 얘기합니다.
그런데 피부 표면에 핏줄이 튀어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불편함(부종, 저림, 당김, 경련, 중압감)만이 있던 것이라면,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관질환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시간 서서 일을 하는 직업군 중에 피부 겉으로 울퉁불퉁한 혈관이 튀어나와 보이거나 혹여 보이지 않더라도
당김, 저림, 경련, 중압감, 피로감 등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하지정맥류전문병원에서 올바른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본원에 내원하신 분 중에 한 분을 예로 들어보자면, 이분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시간을 쪼개서 주기적으로 운동을 해오시던 분입니다.
언제부터 하지정맥류가 생긴 것인지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처음에는 다리 한쪽에서만 힘줄 같은 완두콩만한 것이 돌출된 게 전부였고 딱히 불편함도 없었다고 합니다.
날이 갈수록 완두콩만한 돌출은 점점 커졌지만 그래도 큰 어려움은 없었다 하셨는데, 그도 그럴 것이 평소에 항상 서서 근무를 하기에 다리가 피로하거나 저린 정도는 단지 무리한 업무 때문이라고 생각을 하셨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반대쪽 다리에서도 혈관이 튀어나오기 시작했고 하지정맥류가 발목까지 빠르게 진행되면서 부터는
종아리 경련(쥐)는 물론, 발가락이 일시적으로 마비되고 쥐가 나거나 심한 중압감 및 열감까지도 느껴지셨다고 합니다.
하지정맥류는 진행성 질병이기에 계속 방치할수록 역류하면서 고인 혈액들의 양이 늘어나면서 혈관의 돌출도 심해지게 됩니다.
이때 하지정맥류로 인해 확장된 혈관(정맥)들이 주위 근육과 신경에 무리를 주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평소에 운동을 꾸준히 해서 근육량이 많다면 불편함이 덜 느껴지기도 하지만, 근육량이 적거나 정맥고혈압이 발생한 경우라면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결국 치료를 받고 나서야 그동안의 불편함(저림, 당김, 경련, 중압감 등)이 무리해서가 아니라 하지정맥류로 인한 증상임을 알게 되셨습니다.
하지정맥류 수술하면 개선이 될까요?
하지정맥류 수술을 받는다고 해서 “무쇠 다리”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리의 피로감 및 중압감이 확연히 개선됩니다.
그러나 일시적 완화가 아니라 영구적인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수술 후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운동을 안하던 사람이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소화한다면 순기능을 체험하기도 전에 부작용에 시달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과격한 운동이 아닌 처음에는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근력을 키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 운동하는 습관은 하지정맥류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환들에 대한 예방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https://m.place.naver.com/hospital/11890602/home?entry=pll
포이즌의원 : 네이버
방문자리뷰 177 · 블로그리뷰 960
m.place.naver.com
'치료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정맥류수술분석후기] 체격이 좋은 남성에게서 나타난 다리 혈관! 하지정맥류가 맞나? (0) | 2024.07.09 |
---|---|
하지정맥류수술 분석 후기를 통해 본, 잘못된 생활 습관이 하지정맥류에 미치는 영향 (1) | 2024.03.19 |
하지정맥류통증 – 튀어나온 혈관이 없어도 위험한 이유!! (2) | 2023.09.19 |
종아리 뒤쪽으로 혈관 돌출이 심한데, 허벅지 안쪽부터 수술이 시작되는 이유는? (3) | 2023.06.06 |
하지정맥류 재발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번에 제대로 치료해야 하는 이유!!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