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정맥류의 종류

[강남 포이즌 하지정맥류 클리닉] 대복재정맥류의 진행과정

포이즌흉부외과 2009. 10. 13. 16:31

 

 

 

 

대복재정맥류[Greater Saphenous Vein] 의 진행과정

 

위의 사진은 전형적인 대복재정맥류의 예시 사진으로써, 하지정맥류의 수술적(레이저 포함)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우의 70% 이상에게서 나타는 하지정맥류의 다양한 형태중 하나 입니다.

 

Ultra sound 혹은 Duplex scan (혈관도플러&초음파)상에서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안쪽 깊숙히 위치한 주요정맥의 그림 입니다.

 

회색으로 표시하고 정 가운데 있는 혈관이 "심부정맥" 입니다.

 

발끝에서 서혜부(사타구니)까지 올라온 검은색 혈관이 "대복재정맥[Greater Saphenous Vein]" 입니다.

 

나란히 한 두 혈관(심부정맥 & 대복재정맥)을 이동 통로로, 발끝에서 심장 쪽으로 올라가던 정맥혈이 서혜부(사타구니)에서 심부정맥으로 합쳐지면서 심장 쪽으로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이 정상적인 순환이 됩니다.

 

 

 

위의 사진에서도 알수있듯이 허벅지 안쪽부터 발끝 방향까지 확장되고 사행(구불구불한 것)된 혈관이 관찰되는데,

 

비교적 초기일 경우에는 허벅지 안쪽에서는 아무런 변화도 관찰되지 않게 됩니다.

 

 

 

특히, 많은 분들께서 밑에서 부터 혈관돌출이 관찰되다가 점점 더 심해지면서 위로 올라간다 라고 표현하시는데~

 

밑에서 부터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서혜부 부터 역류가 발생되어 발끝 쪽으로 쏟구친 정맥혈들이 심장 쪽으로 올라 오던 정맥혈과 충돌을 일으키면서 발생이 되는 것 입니다.

 

이때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혈관이 확장되고 판막(valve)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85~90%의 환류 량을 갖고 있는 심부정맥에서 복재정맥 쪽으로 정맥혈이 역류를 시작하게 됩니다.

 

발끝에서 심장 쪽으로 올라오는 정맥혈의 양보다 서혜부에서 발끝 쪽으로 역류하는 정맥혈의 양의 더 많기에 자연적으로 정맥순환부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무릎 안쪽 혹은 종아리 쪽에서 혈관돌출이 관찰되고, 중력의 영향때문에 밑으로 번지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맥혈의 양이 많아지기에 점점 더 커지면서 사행(구불구불한 것)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때 주변의 곁가지 중에서 특히 약했던 곁가지 혈관으로 압력이 분산되게 되며, 육안상으로 관찰되는 울퉁불퉁한 혈관들이 여기에 해당하게 됩니다.

 

어느정도 역류 및 사행이 진행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밑으로는 더 이상 번지기가 어렵기에 위쪽으로도 혈관의 사행이 관찰되게 됩니다.

 

 

 

대복재정맥류의 진행 과정을 보다 쉽게 요점만 정리한다면

 

1. 심부정맥 과 대복재정맥을 통로로 정맥혈이 심장 쪽으로 진행한다.

 

2. 서혜부에서 두 혈관(심부정맥&대복재정맥)이 만나면서 심부정맥을 주 통로로 심장 쪽으로 이동해야 정상적인 순환

 

*** 어떠한 원인(직접인자 + 간접인자)로 혈관이 확장되면서, 판막(valve)이 제 기능을 상실하면 !!

 

1. 85~90%의 환류 량을 갖고 있는 심부정맥에서 5% 미만인 대복재정맥 쪽으로 정맥혈이 역류를 시작한다.

 

2. 심부정맥에서 대복재정맥으로 역류한 정맥혈과 발끝에서 대복재정맥을 통로로 올라오던 정맥혈이 중간지점에서 충돌을 일으킨다.

 

3. 특정부위(주로 무릎 안쪽 및 종아리 윗 부분)에서 혈관돌출이 처음 발생한다.

 

4. 혈관이 점점 커지면서 계속해서 역류된 혈액의 저장을 위해 사행(구불구불한 것)된다.

 

5. 주변의 곁가지 중에서 가장 약한 곁가지로 그 압력을 분산한다.

 

6. 발 끝 쪽으로 번질만큼 번지다가 결국에는 심장 쪽으로 까지 혈관돌출 및 사행이 진행된다.

 

 

 

 

 

하지정맥류 전문병원 포이즌 흉부외과  의학박사/흉부외과 전문의 반동규

 

www.veinclin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