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정맥류의 종류

[강남 포이즌 하지정맥류 클리닉] 소복재정맥류의 진행 과정

포이즌흉부외과 2009. 10. 6. 16:57

 

 

약간은 어려운 그림으로 보일수도 있습니다.

 

이 혈관도는 인체의 다리에 있는 정맥혈관의 대략적인 위치 와 위치에 따른 혈관의 명칭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흔히 손등이나 발등에서 보게 되는 가느다란 혈관들은 이 그림에 없습니다.

 

Ultra sound 혹은 Duplex scan (혈관도플러&초음파)상에서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안쪽 깊숙히 위치한 주요정맥의 그림 입니다.

 

회색으로 표시하고 정 가운데 있는 혈관이 "심부정맥" 입니다.

 

발끝에서 오금(무릎 접히는 뒷 부분)까지 올라온 검은색 혈관이 "소복재정맥[Lesser Saphenous Vein]" 입니다.

 

동맥을 타고 와서 뼈와 근육으로 유입되었던 혈액이 심장으로 되돌아 갈때, 주로 이용되는 통로(정맥)는 심부정맥 입니다.

 

또한, 동맥을 타고 피부 구석구석 전달된 혈액들이 심장 쪽으로 되돌아 올때, 일차적으로 거치는 통로가 바로 소복재정맥이 됩니다.

 

하지정맥류 발병의 대부분은 심부정맥 과 대/소복재정맥이 만나는 접합부(junction)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소복재정맥류[Lesser Saphenous Vein] 의 진행과정

 

위의 사진은 전형적인 소복재정맥류 의 예시 사진 입니다.

 

사진상에서 혈관돌출 및 사행(구불구불한 것)은 종아리 중간부근으로 관찰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정맥이동은 피부 깊숙히 위치한 심부정맥 을 이동 통로로 올라오던 정맥혈과 소복재정맥 을 이동 통로로 이용하여 올라오던

 

정맥혈이 오금(동그라미)부위에서 만나서 심부정맥을 최종 통로로 심장 쪽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판막(valve) 기능 이상 및 혈관확장 등의 이유에서 하지정맥류가 발생되면,

 

심부정맥을 통로로 올라오던 정맥혈이 소복재정맥으로 쏟구치면서 주로 손등이나 발등에서나 관찰될 만한 주변의 곁가지 혈관으로

 

그 압력을 분산시켜서 육안으로는 울퉁불퉁한 혈관돌출과 다양한 자각증상을 나타나게 합니다.

 

 

 

 

하지정맥류 전문병원 포이즌 흉부외과  의학박사/흉부외과 전문의 반동규

 

www.veinclin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