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사무직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시간 대부분을 서서 움직이기보다는 앉아서 업무를 보는 경우가 더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서있거나 무리한 활동을 한 일이 없는 상황임에도 퇴근 후 다리를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 심하게 부어오른 종아리나 발목 때문에 깜짝 놀라곤 하실 수 있습니다.
하루 종일 서서 근무를 했을 때 다리가 붓는 거야 그렇다 치지만, 왜 앉아만 있는데도 종아리가 코끼리 다리처럼 부어오르게 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자고 일어났을 때나 쉬는 날에는 다리가 멀쩡한데, 꼭 일하는 날에만 다리가 붓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래서 오늘은 가만히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사무직종 분들이 고민하시는 종아리부종이 대체 왜 생기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중력 및 하중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일반적인 동물과 다르게 직립보행을 합니다.
물론 유인원과 같이 인간의 보행 패턴과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만, 인간과 동물의 걸음걸이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직립보행은 “중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요.
심장에서 시작해 발끝에서 끝나 다시 올라오는 혈액순환이 이뤄질 때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중력이라는게 서있을때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의자에 앉은 자세가 서있는 자세보다 중력의 영향을 덜 받을 뿐이지 안 받는 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사무직종의 업무를 수행하는 분들이라 하더라도 중력에 의해 다리로 혈액이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퇴근 후에도 다리가 부어 있는 것입니다.
다만, 누워있는 자세를 취할 때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혈액들이 고르게 분포하게 됩니다.
그래서 주말에 쉴 때나 잠을 푹 자고 일어나면 다리에 붓기가 어느 정도 가라앉게 되는 것입니다.
다리 붓기의 원인은 정맥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리의 붓기 원인이 꼭 중력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신체 내부 혈의 순환 관계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먼저 우리 신체에는 동맥과 정맥이라는 “혈”이 있습니다.
그중 동맥은 심장박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는 반면, 정맥은 근육과 관절의 움직임에 의해 순환되게 됩니다.
즉, 정맥은 우리가 움직이지 않는 이상 - 한 자리에 머물게 된다는 얘기가 됩니다.
때문에 가만히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맥의 흐름도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다리도 점점 붓게 되게 되는 것입니다.
더욱이 업무를 진행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오후 시간에는 정맥이 그만큼 더 많이 고이기 때문에 붓기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종아리부종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엇보다도 몸을 꾸준히 움직일 수 있도록 가벼운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식습관부터 시작해서 생활습관도 개선해주셔야 합니다.
무엇보다 앉아 있을 때 - 특히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과, 쪼그려 앉는 습관, 다리(종아리)를 압박하는 의복이나 스타킹 착용 등은 되도록 피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짜고 매운 음식들도 피해주시는 것이 좋고, 신체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도록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하지만 만약 꾸준히 관리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좋아지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 정맥순환부전증 혹은 하지정맥류를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하지정맥류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
우선 종아리부종이 발생하는 원인은 근육과 관절의 움직임이 줄어들면서 발생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해당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판막(valve) 손상이 발생하면서, 혈액의 역류에 가속도가 붙게 되면서 하지정맥류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종아리부종 뿐만 아니라, 하지정맥류를 예방하기 위해서 종아리 부근의 정맥이 순환될 수 있도록 중간 중간에 일어서서 종아리 근육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위에 말씀드린 식습관과 생활습관도 함께 잡아주시는 것이 좋고, 해당 보존요법은 1~2달 정도의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그리고 규칙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점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하지정맥류가 진행된 경우라도 외관상 혈관 돌출이 눈으로 보일 정도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며, 초기 증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질환입니다.
어쩌면 지금은 통상적인 다리 붓기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이미 시작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관리를 하는 중이라도 종아리 부근에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거나 오히려 붓기가 더 심해지는 경우라면, 포이즌 흉부외과로 내원하시길 권합니다.
https://m.place.naver.com/hospital/11890602/home?entry=pll
포이즌의원 : 네이버
방문자리뷰 218 · 블로그리뷰 1,010
m.place.naver.com
'Free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돌출, 손이나 발에 생겨도 하지정맥류? (1) | 2024.11.12 |
---|---|
혈관 돌출이 없는 하지정맥류! 치료 및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4) | 2024.11.05 |
하지정맥류 발생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서 (8) | 2024.10.01 |
하지정맥류환자들이 피해야 하는 운동은? (Feat. 등산, 마라톤, 웨이트트레이닝) (7) | 2024.09.24 |
갑자기 나타난 다리 저림 및 시림 등의 통증! 하지정맥류 증상일 수 있을까? (1) | 2024.09.17 |